술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이 있죠. 저도 알콜 쓰레기라서 한잔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는 타입인데요.
술자리에서 알쓰들이 공감하는 스트레스 중 하나가 바로 술 마시면 빨개지는 얼굴입니다.
얼굴이 빨갛게 달아오르면 다들 술에 취했다고 생각을 하는데 빨갛게 달아오른 얼굴에 비해 오히려 술에 취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알코올 술에 취한 것도 아닌데 술 한잔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는 뭘까요? 술 먹으면 빨개지는 얼굴 건강에 문제는 없는 걸까요?
술 마시면 얼굴 빨개지는 이유
술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와 현상을 알코올 플러시 리액션이라고 합니다. 알코올 홍조 반응이라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알코올을 구성하는 성분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하는 ALDH효소가 없거나 부족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알코올인 술을 마시면 위와 간을 거치면서 1차 분해과정을 통해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로 변합니다. 이후 2차 분해과정에서 ALDH효소를 통해 아세트알데히드를 인체에 무해한 아세트산으로 변화시키게 되는데요.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이 ALDH효소가 부족할 경우 아세트산으로 변화되지 못하고 독성이 강한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축적되면서 술먹고 얼굴 빨개짐 현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술 먹고 얼굴 빨개짐 현상과 동시에 어지러움, 두통이나 심장박동 수 증가, 메스꺼움 등 몸에서 다양한 신호를 보내게 됩니다.
실제로 ALDH효소는 서양인에 비해 동양인들에게 부족하다고 하는데요. 몸 속에 독한 알코올 성분이 우리 몸속에서 분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를 빨개진 얼굴이 대변하는 것입니다.



술먹으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
참고로 술먹고 얼굴이 빨개져도 술을 마시다보면 술이 느는 것 같은 기분이 드는데요. 네 아닙니다. 술은 마시면 마실수록 늘지 않습니다.
술먹으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를 설명드렸는데요. 알코올 분해 효소는 후천적으로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알코올인 술을 계속 마신다고 해서 주량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술을 자주 마시게 되면 주량이 늘어나고 술 먹고 얼굴 빨개짐 증상이 덜 해지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은 알코올 분해 효소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뇌의 일부가 알코올에 적응한 것으로 실제로 아세트알데히드는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고 있는 겁니다.



알코올 홍조 반응은 굉장히 위험한 신호로 다양한 질병을 초래할 수 있는데요. 특히나 알코올 홍조반응이 있는 사람은 혈관에 큰 부담이 되어 방광암이나 식도암, 고혈압 등에 걸릴 위험이 높습니다.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술자리를 피하기 어려울 때가 많죠. 이럴 때에는 되도록 빈 속에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좋고 술을 마시더라도 이후 48시간 이후까지는 금주하는 것이 좋습니다. 뭐든 적당한 것이 좋은 법! 모두 건강한 생활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술 먹고 얼굴 빨개짐, 술 마시면 얼굴 빨개지는 이유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꿀팁Tip I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뽐뿌 무료운세 바로가기 (2) | 2023.12.27 |
---|---|
소아 야경증 증상과 치료, 원인은? (0) | 2023.12.20 |
약 보관 방법과 남은 약 처리방법 (1) | 2023.12.19 |
츄베릅 신조어 뜻 (1) | 2023.12.18 |
고진감래 신조어 뜻 알아보자 (1)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