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꽃길소녀입니다.
오늘은 남녀노소 막론하고 쉽게 걸리는 대표적인 눈 질환 다래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눈다래끼는 몸이 피곤하거나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찾아오는 감기랑 비슷한 질환이죠.
다래끼가 생기면 눈꺼풀과 그 주위가 붓는 것은 물론이고 정말로 심한 경우 얼굴 전체가 부어오르기도 합니다. 심한경우에 눈을 찢어야할 경우도 있는데요.
오늘은 이런 다래끼의 원인과 증상, 다래끼 빨리 낫는법, 예방법까지 자세히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래끼란
흔히 우리가 말하는 다래끼는 눈꺼풀에 생기는 화농성 염증을 말합니다.
속눈썹 뿌리에 있는 모공 속의 염증이나 노폐물, 피지 등이 배출되지 못하고 쌓였다가 갑자기 많은 양의 피지나 노폐물 등이 염증 등으로 배출되면서 생기는 급성 염증입니다. 심한 경우 고름집이 잡히기도 하죠.
다래끼 원인
눈 다래끼 원인은 주로 포도상수균에 의해 잘 감염되는데요. 눈 안에 분비샘이 있는데 이곳이 막히면 눈 다래끼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균이 있다고 무조건 다래끼가 생기는 게 아니라 타 요인이 동반되면서 발생합니다.
눈 다래끼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청결하지 못한 손으로 눈을 비비는 것이고, 다음으로 과도한 스트레스, 수면부족 등 면역력의 저하가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콘텍트렌즈 등을 장시간 착용하거나 진한 눈 화장을 오래 유지할 때 발생한답니다.
다래끼 증상
눈꺼풀 표면에 가까이 생기는 겉다래끼의 초기 증상은 통증입니다. 주로 눈 주변에 통증이 나타나며, 빨갛게 부어오르고 가렵다면 눈다래끼를 의심하셔야 합니다.
많은분들이 결막염과 다래끼를 헷갈려 하실 텐데 결막염은 눈이 붓고 눈이 빨갛게 충혈 되는 것이 주 증상입니다. 특히나, 눈곱이 심하게 낀다는 것이 눈 다래끼와 구별되는 점입니다.
겉이 아닌 속 다래끼의 증상은 결막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눈꺼풀이 무겁게 느껴지고 해당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눈 다래끼 빨리 낫는 법
가장 좋은 눈 다래끼 빨리 낫는 법은 손을 청결히하고 손으로 눈을 만지지 않는 것입니다. 손을 30초 이상 비누에 깨끗이 씻고 청결을 유지해주어 세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세요.
의식적으로 최대한 눈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해주세요.
다음으로 눈다래끼 빨리 낫는 법으로 좋은 것은 염증이 불편감만 있고 겉으로는 보이지 않을 정도라면 따뜻한 물주머니로 온찜질을 해주면 좋습니다.
온찜질을 하게 되면 혈액순환이 되면서 눈꺼풀의 기름 배출을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온도는 40도가 적당하고, 15~20분 정도 하루에 3~5번 정도가 좋습니다.
다래끼에 감염된 부위를 물이나 식염수로 씻어주는 것도 도움이 되며, 통증이 심하다면 온찜질이 아닌 냉찜질을 해주는 것도 다래끼 빨리 낫는 법으로 좋습니다.
여성분들은 포기하기 힘들 수도 있겠습니다만 눈 화장을 하거나 렌즈를 착용하게 되면 세균이 렌즈에 붙어 눈 다래끼 빨리 낫는 법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낫기 전까지 눈화장과 렌즈 착용은 자제해주세요.
특히나, 오염된 화장품이나 유통기한이 넘은 화장품은 속에 박테리아 균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절대로 사용하지 말아 주세요.
다래끼가 심하다면
다래끼는 주로 저절로 낫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염증이 점점 커지고 통증이 심하다면 안과를 방문해야합니다.
항생제 안양과 안연고, 항생제 복용 등을 통해 치료를 받도록 하고, 위에 언급했듯이 증상이 심해 고름이 차있다면 절개를 해 염증을 빼주어야 합니다.
눈다래끼 주의할 점
가끔 스스로 고름을 짜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행위는 오히려 고름이 다른 부위로까지 번질 수 있기 때문에 절대 금물입니다.
또, 눈이 부어 안대를 착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눈의 통풍을 방해해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안대는 사용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이상 눈 다래끼 빨리 낫는 법과 증상, 원인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꿀팁Tip I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스라이팅 뜻 예시 완벽이해하기 (2) | 2020.10.04 |
---|---|
드라이아이스 버리는 법 간단간단 (4) | 2020.10.04 |
다리에 쥐나는 이유 대처법까지 총정리 (0) | 2020.10.03 |
눈 실핏줄 터짐 원인 이유 알아봐요 (2) | 2020.09.29 |
딸꾹질 멈추는법 총정리 (0) | 2020.09.27 |